길잃은곰
길을 잃어 떠도는 곰
길잃은곰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87)
    • Algorithm (6)
    • HTML, CSS (9)
    • Frontend (1)
    • SW공학 (1)
    • WEB (4)
    • Javascript (29)
    • Typescript (0)
    • React (8)
    • Computer Science (11)
    • NEWS (0)
    • TIL(WIL) (4)
    • ETC (5)

블로그 메뉴

  • ✨깃허브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인기 글

태그

  • 코드트리
  • VW
  • REM
  • %
  • element
  • EM
  • 자바스크립트
  • PX
  • VH
  • javascript2016
  • js2016
  • 코테
  • Pixel
  • ES8
  • ES6
  • 연탄
  • JavaScript
  • ES7
  • Es5
  • root-element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길잃은곰

길을 잃어 떠도는 곰

[ 알고리즘 ] 이진 탐색 ( Binary Search )
Algorithm

[ 알고리즘 ] 이진 탐색 ( Binary Search )

2023. 1. 13. 01:06

이진 탐색 ( Binary Search )

업 앤 다운이라는 게임이 있다. 이 게임의 룰은 사회자가 1~100 사이의 숫자를 정한 뒤 그 숫자를 돌아가면서 맞추는 게임으로 부른 숫자가 사회자가 부른 숫자보다 낮으면 Up, 부른 숫자가 사회자가 부르는 숫자보다 높은 숫자면 Down 이라고 해서 그 숫자를 맞추는 게임이다.

이 게임에서 가장 빠른 방법은 당연히 운빨로 한번에 맞추는거겠지만, 평균에 수렴하게 되면 가장 빠르게 답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은 절반값을 계속 불러서 답을 찾아가는 방식이다.

이런식으로 값을 찾아가는 방식이 바로 이진 탐색 방식이다. 

이 방식을 사용하면 100에서 값을 찾는데 걸리는 최악의 경우 logn ( 이진 로그) 으로 6.64 정도, 아무리 최악의 상황에도 7번 안에 답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인 것이다.

하지만 이진 탐색에는 치명적 약점이 있는데, 미리 정렬되지 않은 데이터셋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.

저작자표시 비영리 동일조건 (새창열림)

'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 알고리즘 ] 해시 테이블 ( Hash Table )  (0) 2023.01.13
[ 알고리즘 ] 스택, 큐  (0) 2023.01.13
[ 알고리즘 ] 그래프, 트리  (0) 2023.01.13
[ 알고리즘 ] 배열과 링크드 리스트  (0) 2023.01.12
[ 알고리즘 ]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에 대하여  (0) 2023.01.12
    '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 알고리즘 ] 스택, 큐
    • [ 알고리즘 ] 그래프, 트리
    • [ 알고리즘 ] 배열과 링크드 리스트
    • [ 알고리즘 ]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에 대하여
    길잃은곰
    길잃은곰

    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