길잃은곰
길을 잃어 떠도는 곰
길잃은곰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87)
    • Algorithm (6)
    • HTML, CSS (9)
    • Frontend (1)
    • SW공학 (1)
    • WEB (4)
    • Javascript (29)
    • Typescript (0)
    • React (8)
    • Computer Science (11)
    • NEWS (0)
    • TIL(WIL) (4)
    • ETC (5)

블로그 메뉴

  • ✨깃허브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인기 글

태그

  • Es5
  • ES8
  • 자바스크립트
  • EM
  • VW
  • PX
  • JavaScript
  • %
  • javascript2016
  • 코테
  • js2016
  • root-element
  • VH
  • 연탄
  • ES6
  • ES7
  • element
  • REM
  • 코드트리
  • Pixel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길잃은곰

길을 잃어 떠도는 곰

HTML, CSS

[CSS] display 속성에 대해

2023. 1. 6. 11:03

display 속성값의 종류

1. none

display: none;

요소를 렌더링하지 않도록 설정합니다. visibility 속성을 hidden으로 설정한 것과 달리, 영역도 차지하지 않습니다.

 

2. block

display: block;

기본적으로 가로 영역을 모두 채우며, block 요소 다음에 등장하는 태그는 줄바꿈이 된 것처럼 보입니다. 이는 word 같은 문서에서 문단을 표시할 때, 한 문단이 끝난 뒤에 나타나는 요소는 항상 다음 줄에 표시되던 것과 비슷한 맥락입니다.

 

3. inline

display: inline;

block 과 달리 줄 바꿈이 되지 않고, width와 height를 지정 할 수 없습니다. word 같은 문서에서 볼드, 이탤릭, 색상, 밑줄 등 글자나 문장에 효과를 주기 위해 존재하는 단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.

 

4. inline-block

display: inline-block;

block과 inline의 중간 형태라고 볼 수 있는데, 줄 바꿈이 되지 않지만 크기를 지정 할 수 있습니다.
Internet Explorer 7 이하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.

저작자표시 비영리 동일조건 (새창열림)

'HTML,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HTML] 시맨틱 마크업( Semantic Markup ) 이란 무엇인가  (0) 2023.01.06
[CSS] CSS in JS 의 장단점  (0) 2023.01.06
[CSS] Margin 과 Padding 의 차이점  (0) 2023.01.06
[CSS] Position 속성  (0) 2023.01.06
[CSS] SCSS 에 대하여  (0) 2023.01.06
    'HTML,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HTML] 시맨틱 마크업( Semantic Markup ) 이란 무엇인가
    • [CSS] CSS in JS 의 장단점
    • [CSS] Margin 과 Padding 의 차이점
    • [CSS] Position 속성
    길잃은곰
    길잃은곰

    티스토리툴바